1. 메뉴표시줄에서 우클릭 > New > eGovFrame Web Project를 선택한다. 그리고 아래와 같이 설정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한다. ![[Pasted image 20231104154949.png]] 2. 포털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> 공통컴포넌트 > 다운로드 > 공통컴포넌트 4.1.0 all-in-one 배포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. ([링크](https://www.egovframe.go.kr/home/sub.do?menuNo=49)) ![[Pasted image 20231104155323.png]] 3. 다운로드 받은 압축파일을 워크 스페이스 속 프로젝트 폴더에 붙여넣기 한다. ![[Pasted image 20231104155816.png]] 4. eclipse에서 프로젝트를 우클릭 후 Maven > update project 를 클릭한다. 이후 아래와 같이 설정한 후 OK 버튼을 누른다. (업데이트하는데 시간이 좀 걸리니 커피 한 잔 하고 온다.) ![[Pasted image 20231104155935.png]] ![[Pasted image 20231104160050.png]] 5. 프로젝트명을 마우스 우클릭하여 run as > maven install을 실행한다. ![[Pasted image 20231104162617.png]] 6. 아파치 톰캣 폴더의 context.xml을 아래의 그림과 같이 열고 `<Resources cachingAllowed="true" cacheMaxSize="100000"></Resources>` 문장을 추가하고 저장한다. 캐시 용량을 100mb로 늘리는 설정으로 설정하지 않으면 캐시 용량이 10mb라서 캐시 부족으로 에러가 난다. ![[Pasted image 20231104163302.png]] ![[Pasted image 20231104163438.png]] 8. 하단 바에 있는 아파치 톰캣 서버를 더블 클릭하여 Overview 창을 띄운 다음 Timeouts 설정 값을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. 서버 실행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할 경우 에러를 띄우는 설정인데 실행하는 컴퓨터 사양에 따라 좀 빡빡할 수도 있다. ![[Pasted image 20231104163931.png]] ![[Pasted image 20231104164048.png]] 9. 아래를 참고하여 context-datasource.xml 파일을 찾은 다음 자신의 DB에 맞는 Bean 설정을 주석 해제하고 수정한다. ![[Pasted image 20231104174222.png]] ![[Pasted image 20231106140703.png]] 10. 비슷하게 pom.xml에 있는 dependency 설정 중 아래 부분을 주석 해제한다. ![[Pasted image 20231106140847.png]] 11. 프로젝트명을 마우스 우클릭하여 run as > run on server을 실행하고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공통 컴포넌트 설정이 성공적으로 끝난 것이다. ![[Pasted image 20231106140855.png]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