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# 들어가기 전에 아래의 방법들은 PuTTY GUI를 이용한 방법으로 CLI로도 가능하다. CLI를 위한 Shell 프로그래밍은 [[C. 배포 반-자동화를 위한 Shell 프로그래밍|여기]]서 확인할 수 있다. ## Docker 설치 ![[Pasted image 20231211153637.png]] - [[1. AWS EC2 인스턴스 생성과 환경설정#1. PuTTY 연결|이전 글]]을 참조하여 AWS EC2 인스턴스에 접속한다. ![[Pasted image 20231211161229.png]] - `sudo yum update` 명령어를 통해 yum을 업데이트한다. - 여기서 맨 앞에 `sudo`는 "Superuser Do"의 약어로 이후 명령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는 명령어이다. - yum은 레드햇 계열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 설치 관리 도구이다(python으로 치면 pip). ![[Pasted image 20231211161703.png]] - `sudo yum install docker` 명령어를 통해 docker를 설치한다. 명령어를 입력하면 설치할 것인지 묻는데 `y`를 입력한다. 아니면 `sudo yum -y install docker` 명령어를 써도 된다. ![[Pasted image 20231211162701.png]] ``` sudo service docker start sudo docker version ``` - docker를 실행한다. 버전 확인을 통해 docker가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. ## Docker-compose 설치 ![[Pasted image 20231211162718.png]] ``` sudo curl -L "https://github.com/docker/compose/releases/latest/download/docker-compose-$(uname -s)-$(uname -m)" -o /usr/local/bin/docker-compose ``` - Git 레포지터리를 통해 docker-compose를 다운로드한다. 이때 팁은 위의 코드를 복사한 다음 인스턴스 터미널에서 `SHIFT + INSERT` 로 붙여넣기하는 것이다. - 리눅스에서는 복사는 `CTRL + INSERT` 이고 붙여넣기는 `SHIFT + INSERT`이다. ``` sudo chmod +x /usr/local/bin/docker-compose ``` - 위와 같은 요령으로 코드를 복사 붙여넣기 한다. - `chmod` 는 "change mode"의 줄임말로 파일 권한 변경 명령어이다. - `+x`은 `x`(리눅스에서 실행을 의미, `w` > 쓰기, `r` > 읽기)을 `+` 한다는 의미로 실행 권한을 추가한다는 의미이다. - `/usr/local/bin/docker-compose` 는 권한 변경할 파일을 위치이다. ![[Pasted image 20231211163230.png]] - `docker-compose version` 명령어를 통해 docker-compose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.